반응형 부동산38 [2023년 달라진 부동산 정책] 다주택자 취득세완화, 양도세 중과배제 2023년 달라진 부동산정책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부동산 완화정책이 계속 발표되고 있습니다. 2023년에 바뀌는 부동산 정책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다주택자들 취득세 완화 먼저, 다주택자들의 취득세가 완화됩니다. 조정지역의 2 주택자의 경우 8% 취득세가 1~3% 일반과세가 되었고 3 주택이상 다주택자들도 6%로 기존 정책보다 완화되었습니다. 또한 최근에 대부분 지역이 조정지역에서 해제가 됨으로써 취득세 부담이 더욱 줄어들었습니다. 양도세 중과배제 1년 한시적 유예 양도세 중과배제도 1년 유예가 되어 2024년 5월까지 연장되었고 분양권/입주권도 1년이상 보유한 경우 중과배제되며 1년 미만을 경우 양도세율이 70%에서 45%로 낮춰줍니다. 규제지역 내 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 규제 전면해제 기.. 2023. 5. 22. 신축아파트 소유권 등기시 필요한 비용(후취담보, 등기비용, 이전채권, 설정채권) 후취담보 집단대출 후 단체등기 신축아파트를 분양받으면 처음에 분양금 10%만 내고 중도금 대출을 일으키며 입주시점까지 기다리다가 입주 지정기간에 맞춰 잔금대출을 준비해야 합니다. 입주단지와 협약을 맺은 여러 은행들과 상담 후에 한 곳을 골라 잔금대출을 신청하는데 이것을 집단 대출이라고 합니다. 원래는 담보인 등기가 없으면 대출이 불가하지만 신축아파트는 협약 맺은 은행들이 나중에 등기가 나오면 담보로 잡기로 하고 대출을 해주는 것입니다. 즉 후취담보 집단대출이 이루어집니다. 잔금대출 후에는 취득세납부와 등기치는 과정을 거치게됩니다. 보통 분양받은 아파트의 입주민들은 협약 맺은 법무사를 통해 단체등기를 위입합니다. *부동산 등기란 부동산의 귀속과 그 귀속형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공시하는 방법으로 현.. 2023. 5. 22. 새롭게 바뀐 공공분양, 민간분양 청약제도 개편 (뉴홈) 청약은 공공분약청약과 민간분양청약으로 나뉩니다. 공공분양 청약은 정부나 지자체 등에서 공급하는 주택을 말하며, 민간분양 청약은 민간업체에서 공급하는 주택을 의미합니다. 국토교통부 작년 10월 25일 청약제도 개편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청년에게 기회를 확대, 공공 분양청약제도 개편 정부에서 무주택 청년 서민의 주거안정해소를 위해 내집마련 뉴:홈 공공분양주택 50만 호를 발표하였습니다. 기존 청약 기준 대비하여 조건이 완화되었으미 지난 5년 대비 3배가 많은 50만 호의 물량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50만 호를 공급하면서도 그중 38%는 청년에게 특별공급하고 나눔형(25만가구), 선택형(10만 가구), 일반형(15만 가구)의 세 가지 주거행태를 선택할 수 있 수 있도록 제공.. 2023. 5. 15. 생애최초 주택구입 취득세 감면 알아보기 (소득조건 x) 생애최초 주택구입 취득세감면 부동산 취득세는 지방세로 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 관할구청에 신고납부해야 하며 매매가격의 1~3%선에서 취득세가 부과됩니다.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은 생애 최초 주택을 취득한 사람에 한해 취득세를 감면해 주는 제도입니다. 생애최초주택구입자, 취득세 감면 최대 200만 원까지! - 소득조건 없앰 2023년 2월 9일 지방세 특례제한법 개정안에 의결하면서 소득기준을 따지지 않고 실거래가 기준으로 12억 이하의 주택을 생애최초로 사면 취득세를 깎아주도록 개정되었습니다. 다만, 취득세수 감소로 인한 지방 재정 부담을 완화하고 고가주택에 대한 과도한 혜택을 막기 위해 감면한도는 현행 제도하에서 받을 수 있는 최대 감면액인 200만 원으로 제한하였습니다. 본래 취득세 감면은 부.. 2023. 5. 12.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 728x90